차트매매 3

투자의 기초 - RSI(상대 강도 지수) 매매

RSI(상대강도지수)란? RSI(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는 주가의 상승과 하락의 강도를 비교하여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로 많이 사용됩니다. RSI는 주가의 움직임을 0~100 사이의 값으로 표현하며, 70 이상은 과매수, 30 이하는 과매도 상태를 나타낸다. RSI 지수매매 RSI의 30은 하단선으로 과매도를, 70은 상단선으로 과매수를 나타내며 RSI를 통해 매매를 진행할때는 우선 RSI 지수가 현재 과매도 혹은 과매수중 어느곳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고 매매를 진행해야한다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RSI지수의 과열이후에는 중간 혹은 반대방향으로 RSI 지수가 움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30일때는 과매도를 판단하여 매수 포지션에서 거래를, 70일때는 과매수로 판..

차트매매법 2023.08.04

차트의 기본 - 지지선과 저항선

고점은 고점끼리 저점은 저점끼리 일직선으로 그어 주가의 파동을 알아볼 수 있는 선을 추세선이라고 합니다 이 추세선은 상황에 따라 지지하는 라인과 저항하는 라인을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을 통해 매매를 진행하면서 현재 추세의 힘을 판단하여 손절 혹은 익절 라인을 잡을 수 있는 기본적인 선입니다. 지지선의 붕괴 지지선은 저점과 저점끼리 추세선을 이어 지금 추세를 이어 갈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지지하는 지지선이 붕괴된다면 이 지지선은 저항선이 되어 추가적인 큰 하락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가격을 지지해주는 지지선이 발견되었다면 이 지지선에서 가격이 지켜주는지를 확인 후 지지선이 깨졌다면 이후 지지선이 저항선이 됩니다 이 저항선은 하락 이후 상승에서 가격 저항을 받게 되고 저항받는..

차트매매법 2022.06.03

이동 평균선 MA(Moving Average) 매매

이동평균선 MA(Moving Average) 매매 이동평균선(MA)이란 ? 주가를 기준이되는 일로 나눈 평균값이되는 값을 선으로 표현하는데 예를들어 3일 이동평균선의 3일간의 주가가 각각 1, 2, 3이라고 했을때 평균인 2가 이동평균선의 위치가 되는것입니다 이동평균 일수를 조정 기준이 되는 값을 이전값을 참조하여 활용할 수 있는데 일수에 따라 5일. 10일. 20일 이동평균선이라고 합니다 이동평균선의 기준이 되는 일의 값이 높을 수록 선의 움직임은 둔해지게 되며 이런 값들을 참고하여 5일, 20일 간의 크로스 지점처럼 지표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 차트 보는 법을 이용한 이동평균선 실전매매 대한 사례를 아래 정리해두었습니다. 이동평균선(MA)의 지지 장기 이동평균선을 유심히 보시면 캔들이 이..

차트매매법 2022.06.03